루시스너츠_게으름뱅이의 부지런떨기

교육

2025년 늘봄학교 어떻게 시행될까요?(2025년 늘봄학교 추진방안)

루시스너츠_ 2025. 1. 26. 12:15
반응형

2025년 새해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달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설 명절이 지나고 나면 금세 2월이 되어 아이들의 입학이 한달 앞으로 다가옵니다. 오늘은 2025년 늘봄학교 저학년위주의 추진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에 돌봄 공백에 취약한 초1을 우선 대상으로 했다면 2025년에는 초1~2로 대상을 확대하고, 2026년부터는 초등 전 학년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전국의 '25년 초등학교 입학 예정아동' 학부모 1200여명을 대상으로  2024년 11월 29일 부터 12월 10일까지 예비 초1 학부모의 인식조사가 실시되었습니다. 2025년 늘봄학교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희망을 파악하여 늘봄교실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조사였습니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96.6%가 늘봄학교에 대해 알고 있으며 응답자의 90.3%가 참여를 희망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학부모들의 돌봄서비스의 요구가 높아졌고, 중요하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여 희망자의 91.4%가 13~15시, 60.3%는 15~17시 오후늘봄을 희망하며 아침/저녁늘봄 희망자 중에서 18.8%가 7~9시 아침늘봄을 11.7%가 17~20시 저녁늘봄을 희망한다고 합니다. 

위와 같은 인식조사를 통해 교육부는 2025년 돌봄교실 추진방안을 내놓았습니다.

 

1.  아침/오후/저녁/방학 늘봄의 운영체제

  기존의 방과후/ 돌봄 체제를 늘봄학교체제로 일원화하고 단순화 합니다.

7~9시  아침늘봄
정규 수업시간 1시간 내외 교육과 돌봄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있는 경우, 학교 여건에 맞게 프로그램 제공
13~17시 오후늘봄
정규 수업 직후부터 오후시간에 돌봄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희망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제공
맞춤형 프로그램(초1~2) 선택형 교육 프로그램(초1~6) 선택형 돌봄 프로그램(초1~6)
초1~2에게 성장/발달에 맞게 학습과 놀이, 적응 등이 결합된 프로그램을 매일 2시간 or 2차시 무상으로 제공 정규수업 외 추가교육이 필요한 학생에게 제공
수요에 따라 교과, 특기 적성 등 교육 제공
정규수업 외 추가돌봄이 필요한 학생에게 제공
늘봄교실에서 보호, 자율활동 등 돌봄 제공
17~19시 저녁늘봄
오후 늘봄 이후 최장 20시까지 교육/돌봄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있는 경우, 학교 여건에 맞게 프로그램 제공

오후 늘봄의 경우 초1~2 모두에게 희망하는 형태로 희망시간까지 오후 늘봄을 보장하는데 맞춤형 프로그램의 경우는 희망자에게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선택형 교육.돌봄 프로그램은 초1~2는 원하는 형태로 참여를 보장하고, 초3~6에게는 기존 방과후/ 돌봄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존 수준이상의 지원을 제공합니다. 

아침/저녁/방학늘봄의 경우 학교별 수요와 여건에 맞게 제공합니다. 이때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오후 늘봄에 준하는 교육, 돌봄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저녁늘봄 참여 학생에게는 석식을 제공합니다. 방학중에도 늘봄학교를 운영하는데 이는 수요와 학교의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운영형태와 시간을 결정합니다. 

학교는 참여 수요에 맞게 프로그램과 공간을 확보하고 인력 충원을 추진해서 수요만큼 참여를 보장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인력의 경우, 늘봄실무인력이 1학교에 1명 이상을 비치해야 하며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방식으로 하는데요. 저희 아이 학교의 경우 늘봄교실이 2교실이 있고 늘봄 선생님 두분이 계십니다. 

 

2. 체계적인 늘봄 프로그램 운영

늘봄교실의 운영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학년별 수준에 맞는 커리큘럼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습니다. 학생과 학부모의 수요를 바탕으로 교육적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년별 특색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초4~6 대상으로 고학년 수준에 맞는 진로, 적성, 특색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제공합니다. 

특히 학부모 인식조사 결과 체육 44.8%, 문화예술 20.1%, 창의과학 13.9% 순으로 프로그램 선호도를 보였습니다. 이에 맞게 예체능 특기 교육 지원을 강화합니다. 정규수업 내 예체능 교육활동과 동아리 활동을 늘봄학교에서도 연계하여 예체능 특기 교육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각 학교의 관할 교육청별 특색 체육, 예술교육 지원사업을 펼쳐 다양한 예체능 프로그램과 지역 예술, 체육 단체와 연계하여 강사와 공간을 확보하여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기초학력 지원 프로그램, 장애학생 지원, 이주배경학생 학교 적응 지원, 저소득층 지원 등으로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배경에 관계없이 모두가 늘봄교실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차 해소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올해 2025년에는 2024년 늘봄학교 추진방안을 안정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늘봄학교의 대상을 초2까지 확대하면서 질 높은 교육,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대학,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를 확보, 안정화, 고도화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2026년에 늘봄학교를 완성하여 새로운 초등교육 체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교육부와 교육청, 학교, 지역사회, 학부모, 학생이 모두 함께 더 나은 늘봄교실을 만들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따라 학부모와 학생들이 원하는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 안전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 받음으로써 돌봄 공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저희 부부에게 아이의 초등 입학시 그리고 초2가 되었을 때 제공되지 않는 돌봄공백이 가장 큰 고민이었습니다. 모쪼록 좋은 체제로 자리잡아 학부모들과 아이들이 맘 편하게 직장생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교육부 유튜브 늘봄교실 홍보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T11L-05Tcfw&t=4s

KTV 국민방송 유튜브 늘봄교실 홍보영상

 

 

 

2025년 늘봄교실은 어떻게 달라지나요?(늘봄교실 정의, 돌봄교실, 초등학교, 방과후)

2024년 시범운영 중이던 늘봄교실이 2025년 확대되어 운영된다고 합니다. 어떻게 달라질까요?1학년부터 2학년 현재까지 저희 맞벌이 부부는 학교의 돌봄교실의 덕을 톡톡히 보고있는데요. 내년에

lllucysnut.tistory.com

 

 

2025학년도 초중고 교육비 지원 안내(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아이들이 커가면서 교육비의 부담이 점점 늘어나는데요. 저소득층 가구의 초, 중, 고 학생 자녀들에게 교육비를 지원해주는 초중등교육법 제60조의4(교육비 지원)를 근거로 하는 정부지원제도가

lllucysnut.tistory.com

 

반응형